2025 부모급여 첫째 둘째 얼마까지 받을까?
2025 부모급여는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? 첫째와 둘째 수당이 다르고, 연령별로도 금액이 차등 지급됩니다. 올해부터 인상된 최신 부모급여 금액과 신청 조건, 중복 수당 여부까지 완전히 정리해드립니다.
2025 부모급여 핵심 요약
- 첫째 월 100만 원(만 0세 기준)
- 둘째 월 150만 원(만 0세 기준)
- 만 1세는 각각 50만 원 / 100만 원
-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로 대체 지급
부모급여란?
부모급여는 2023년 도입되어 0~1세 영아를 양육하는 가정에 현금으로 지급되는 제도입니다. 육아휴직 유무와 무관하게 보호자 누구나 받을 수 있으며, 조건은 아동의 연령과 가정 보육 여부입니다.
1) 지급 대상 조건
2025년 기준, 0~23개월 이하 아동이 대상이며,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할 경우 지급됩니다.
2) 첫째 vs 둘째 금액 차이
첫째 아이는 만 0세일 때 월 100만 원, 만 1세일 땐 월 50만 원을 받습니다. 반면 둘째는 0세일 때 150만 원, 1세일 땐 100만 원이 지급돼 차이가 큽니다.
3) 어린이집 이용 시 차감
가정에서 양육하지 않고 어린이집에 다니면 부모급여는 보육료(시설지원금) 형태로 지급되며, 현금으로 받지 못합니다.
지급 금액 표로 정리
구분 | 만 0세 | 만 1세 |
---|---|---|
첫째 자녀 | 월 100만 원 | 월 50만 원 |
둘째 자녀 | 월 150만 원 | 월 100만 원 |
보육시설 이용 | 보육료 지원으로 전환 |
지급은 매월 25일 전후로 지정 계좌에 입금되며, 출생 신고 이후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양육수당, 아동수당과는 중복 수령도 가능하므로 놓치지 마세요!
첫째·둘째 부모급여 실제 사례
2025년 1월 출산 후 첫째를 가정에서 양육 중이에요. 복지로에서 부모급여를 신청하자 매달 100만 원이 정확히 25일에 입금되고 있어요. 주변 지인은 둘째라서 무려 월 150만 원을 받고 있더라고요!
1) 첫째 월 100만 원 실수령 후기
출생신고만 마친 뒤 복지로에서 간단히 신청했어요. 특별한 서류 없이 자동 연계되고, 4일 만에 첫 입금이 시작됐어요. 0세는 무조건 현금 100만 원이라 체감 만족도가 높습니다.
2) 둘째는 훨씬 더 지원돼요
2025년부터 둘째는 0세 150만 원, 1세 100만 원으로 첫째보다 최대 2배까지 차이가 나요. 아이가 둘 이상이라면 부모급여 수당 총합이 200~250만 원 이상이 되는 셈입니다.
3) 육아휴직 수당과의 차이
부모급여는 육아휴직 수당과는 별개예요. 휴직을 했든, 맞벌이를 하든 가정에서 아이를 돌본다면 누구나 받는 수당입니다. 단, 어린이집을 이용하면 보육료 전환으로 현금 수령은 중단됩니다.
항목 | 부모급여 | 육아휴직 급여 |
---|---|---|
지급 주체 | 보건복지부 | 고용노동부 |
조건 | 가정양육 | 고용보험 가입 + 휴직 |
금액 | 0세 100~150만 원 | 통상임금의 80% |
중복 수령 | O | O |
부모급여 실전 체크포인트
- 출생신고 후 복지로에서 신청
- 첫째는 0세 월 100만 원, 둘째는 150만 원
- 어린이집 다니면 보육료 전환, 현금X
- 양육수당, 아동수당과 중복 가능
- 부모급여는 휴직 여부 상관없이 지급
부모급여 관련 FAQ
Q. 첫째인데 100만 원이 안 들어왔어요. 왜죠?
출생신고 후 신청이 누락되었거나 어린이집 이용 등록이 된 경우입니다. 가정양육 상태여야 현금 수령 가능해요.
Q. 둘째를 어린이집에 보냈는데 수당이 줄었어요.
맞습니다. 부모급여는 가정양육 시 현금으로, 시설 이용 시 보육료로 전환되어 지급됩니다.
Q. 부모급여는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?
만 0세~1세까지 최대 24개월간 지급되며, 나이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.
Q. 육아휴직 수당과 부모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네. 제도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중복 수령 가능합니다.
Q. 세 자녀 이상은 어떻게 되나요?
셋째부터는 추가 수당은 없지만, 둘째 금액(150/100만 원)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댓글